[건설경제] 부동산개발사 최초로 신탁회사 인수..
2010-04-01제목 | [건설경제] 부동산개발사 최초로 신탁회사 인수.. | 작성일 | 2010.04.01 | 조회수 | 1357 | ||||||||||||||||||||||||||||||||||||||||||||||||
---|---|---|---|---|---|---|---|---|---|---|---|---|---|---|---|---|---|---|---|---|---|---|---|---|---|---|---|---|---|---|---|---|---|---|---|---|---|---|---|---|---|---|---|---|---|---|---|---|---|---|---|---|---|
![]()
그는 손에 든 책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검정고시 수기집편찬위원회), 열정의 길에서 희망을 찾은 검정고시인들의 아름다운 도전기를 엮은 책이다. 물론 그 자신이 걸은 길도 담겨 있다. 지인(유영현 부산정관에너지 대표이사)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받고 꺼내든 그 책 위로 지나온 시절이 투영됐다. 절망 흐르던 눈물도 더 이상 나오지 않았다. 허망도 잠시, 공허만 남았다. 태풍이 할퀴고 간 논에는 뽑힌 벼만 나뒹굴고 있었다. 정녕 봄부터 그토록 땀 흘렸던 그 논이란 말인가, 어제만 해도 노랗게 익은 모습으로 기쁨을 주던 그 벼란 말인지…. 지난 겨울, 해일 때문에 김양식장이 망가진 쓰라림이 아직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하늘이 무심하기만 했다. 소년은 두 손을 불끈 쥐었다. 질곡의 삶, 탈출이 그려졌다. -마음의 고통이 심했나 보다. “자연 앞에서 인간은 너무나 나약한 존재였다.” -9남매 중 다섯째(3남)인데, 매우 힘든 어린 시절을 보낸 듯하다. “다시 한번 그때로 돌아가 살라면 절대 못한다고 버티겠다. 어린 생각에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일터였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농사에 매달렸다. 집안에 농사를 지을 사람이 없었다. 고향(전남 장흥군 관산읍 어은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반농반어(半農半漁)를 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논농사, 겨울엔 김양식, 쉴 틈이 없었다.” 추운 겨울, 소년의 벗은 ‘오줌’이었다.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김양식장에서 일할 때, 너무 추워 오줌을 받아 꽁꽁 언 손을 따뜻하게 덥혔다. 초(관산남초등)-중(관상중) 시절 전교 1등을 다퉜던 소년은 절망감에 몸부림쳤다. 자연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일을 찾고 싶었다.
2010년 3월 11일, 문주현(53) MDM 회장은 좀처럼 흥분을 가라앉힐 수 없었다. 몇 시간 전의 감격이 새록새록 솟구쳤다.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와 한국자산신탁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 개발ㆍ마케팅ㆍ컨설팅ㆍ신탁업무를 총망라한 종합부동산그룹을 향한 큰 걸음을 내디뎠다. 한국 디벨로퍼의 선구자였던 그가 부동산개발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순간이었다. 그는 과연 ‘부동산개발의 미다스’였다. -타깃을 명중한 감회가 클 듯하다. “첫 발을 적중했을 뿐이다. 남은 화살이 많다. 시험에 비유한다면 이제 겨우 1번을 풀었다고 할까. 안도감보다는 다음 문제를 풀기 위해 평정심을 잃지 않으려 한다.” -그렇게 큰 의미가 있나? “부동산개발회사의 부동산신탁회사 인수는 한국 최초다. 제도권 안에서 전문적ㆍ체계적 개발사업을 통해 소비자에게 신뢰받으면서 다양한 방식의 개발사업을 펼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MDM의 풍부한 개발ㆍ마케팅ㆍ컨설팅 경험과 한국자산신탁의 튼실한 신탁업이 결합, 시너지효과를 내게 됐다.” 한국자산신탁은 KAMCO가 75.24%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신탁 전문회사다. 2008년 8월 발표된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른 민영화 첫 사례로서,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른 민영화 규모로는 역대 최대다. 그는 공동 무한책임사원(General Partner)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신MSB 사모투자전문회사(PEF)를 통해 50%+1주를 인수. 실질적 운영주체자가 됐다. 인수 주식수는 총 134만 7300주, 인수 금액은 721억원이다. -앞으로 그림은? “한국자산신탁은 그동안 신탁업계에서도 충실한 재무 건전성과 안정적 고객자산관리로 신뢰가 매우 높았다. 그렇지만 단순 구도의 관리신탁 중심의 편협성으로 신탁시장 개방에 무방비 노출된 형국이다. 한국자산신탁의 강점에 MDM의 컨설팅ㆍ개발신탁을 접목, 진정으로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신탁사업을 제공하겠다. 개발사업 참여자 각자가 필요로 하는 금융(PF)ㆍ관리ㆍ컨설팅ㆍ마케팅 등 다양하고도 특화한 전문서비스를 제공, 보다 원활하고 안정된 개발사업이 가능하도록 하겠다.”
도피하듯 고향을 떠났다. 1976년, 광주직업훈련원 기계과에 제1기 국비장학생으로 입학했다. 머리는 어디 가지 않았다. 400명 중 1등으로 졸업했다. 그러나 학력의 벽은 높았다. 자격증은 다 같은 게 아니었다. 고졸 학력의 동기가 실습교사로 가는 반면, 소년은 보수가 낮은 공장 취업밖에 선택의 길이 없었다. 차별 타파의 열쇠는 공부였다. 검정고시에 도전했다. 6개월, 가뿐히 고졸 검정고시를 뚫었다. 신은 한 번의 시험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몇 번이고 벼리고 벼렸다. 잊을 만하면 닥치는 시련이었다. -경희대 회계학과 (19)83학번이다. 공백이 길다. “대학입시를 앞두고 징집영장이 나왔다. 군 제대 후 처음부터 다시 대학 문을 두ne none; border: 0px;">흐르던 눈물도 더 이상 나오지 않았다. 허망도 잠시, 공허만 남았다. 태풍이 할퀴고 간 논에는 뽑힌 벼만 나뒹굴고 있었다. 정녕 봄부터 그토록 땀 흘렸던 그 논이란 말인가, 어제만 해도 노랗게 익은 모습으로 기쁨을 주던 그 벼란 말인지…. 지난 겨울, 해일 때문에 김양식장이 망가진 쓰라림이 아직 채 가시지도 않았는데, 하늘이 무심하기만 했다. 소년은 두 손을 불끈 쥐었다. 질곡의 삶, 탈출이 그려졌다. -마음의 고통이 심했나 보다. “자연 앞에서 인간은 너무나 나약한 존재였다.” -9남매 중 다섯째(3남)인데, 매우 힘든 어린 시절을 보낸 듯하다. “다시 한번 그때로 돌아가 살라면 절대 못한다고 버티겠다. 어린 생각에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일터였다. 중학교를 졸업하고 농사에 매달렸다. 집안에 농사를 지을 사람이 없었다. 고향(전남 장흥군 관산읍 어은마을) 사람들 대부분이 반농반어(半農半漁)를 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논농사, 겨울엔 김양식, 쉴 틈이 없었다.” 추운 겨울, 소년의 벗은 ‘오줌’이었다.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김양식장에서 일할 때, 너무 추워 오줌을 받아 꽁꽁 언 손을 따뜻하게 덥혔다. 초(관산남초등)-중(관상중) 시절 전교 1등을 다퉜던 소년은 절망감에 몸부림쳤다. 자연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 스스로 해낼 수 있는 일을 찾고 싶었다.
2010년 3월 11일, 문주현(53) MDM 회장은 좀처럼 흥분을 가라앉힐 수 없었다. 몇 시간 전의 감격이 새록새록 솟구쳤다.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와 한국자산신탁 주식양수도계약을 체결, 개발ㆍ마케팅ㆍ컨설팅ㆍ신탁업무를 총망라한 종합부동산그룹을 향한 큰 걸음을 내디뎠다. 한국 디벨로퍼의 선구자였던 그가 부동산개발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순간이었다. 그는 과연 ‘부동산개발의 미다스’였다. -타깃을 명중한 감회가 클 듯하다. “첫 발을 적중했을 뿐이다. 남은 화살이 많다. 시험에 비유한다면 이제 겨우 1번을 풀었다고 할까. 안도감보다는 다음 문제를 풀기 위해 평정심을 잃지 않으려 한다.” -그렇게 큰 의미가 있나? “부동산개발회사의 부동산신탁회사 인수는 한국 최초다. 제도권 안에서 전문적ㆍ체계적 개발사업을 통해 소비자에게 신뢰받으면서 다양한 방식의 개발사업을 펼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MDM의 풍부한 개발ㆍ마케팅ㆍ컨설팅 경험과 한국자산신탁의 튼실한 신탁업이 결합, 시너지효과를 내게 됐다.” 한국자산신탁은 KAMCO가 75.24%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부동산신탁 전문회사다. 2008년 8월 발표된 정부의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른 민영화 첫 사례로서, 공기업 선진화 방안에 따른 민영화 규모로는 역대 최대다. 그는 공동 무한책임사원(General Partner)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신MSB 사모투자전문회사(PEF)를 통해 50%+1주를 인수. 실질적 운영주체자가 됐다. 인수 주식수는 총 134만 7300주, 인수 금액은 721억원이다. -앞으로 그림은? “한국자산신탁은 그동안 신탁업계에서도 충실한 재무 건전성과 안정적 고객자산관리로 신뢰가 매우 높았다. 그렇지만 단순 구도의 관리신탁 중심의 편협성으로 신탁시장 개방에 무방비 노출된 형국이다. 한국자산신탁의 강점에 MDM의 컨설팅ㆍ개발신탁을 접목, 진정으로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신탁사업을 제공하겠다. 개발사업 참여자 각자가 필요로 하는 금융(PF)ㆍ관리ㆍ컨설팅ㆍ마케팅 등 다양하고도 특화한 전문서비스를 제공, 보다 원활하고 안정된 개발사업이 가능하도록 하겠다.”
도피하듯 고향을 떠났다. 1976년, 광주직업훈련원 기계과에 제1기 국비장학생으로 입학했다. 머리는 어디 가지 않았다. 400명 중 1등으로 졸업했다. 그러나 학력의 벽은 높았다. 자격증은 다 같은 게 아니었다. 고졸 학력의 동기가 실습교사로 가는 반면, 소년은 보수가 낮은 공장 취업밖에 선택의 길이 없었다. 차별 타파의 열쇠는 공부였다. 검정고시에 도전했다. 6개월, 가뿐히 고졸 검정고시를 뚫었다. 신은 한 번의 시험으로 만족하지 않았다. 몇 번이고 벼리고 벼렸다. 잊을 만하면 닥치는 시련이었다. -경희대 회계학과 (19)83학번이다. 공백이 길다. “대학입시를 앞두고 징집영장이 나왔다. 군 제대 후 처음부터 다시 대학 문을 두르렸다.” -고비가 또 있었다는데…. “대학 2년 때부터 1년 반 동안 결핵으로 시달렸다. 포기하고 싶었다. 아버지께서 말렸다. ‘너를 믿는다. 너는 할 수 있다’고 끊임없이 격려해 주셨다. 중계동 개척교회에서 중고과정 어학교사로 봉사활동을 하며 마음을 다졌다. 가난하고 몸은 아팠지만 처한 환경에서 지닌 능력을 나누고 싶었다.” 그는 1990년대에도 결핵이 재발, 두 번씩이나 쓰러졌다. 고향에 내려가 쉬며 피곤한 몸과 마음을 달랬다. 그의 꺾이지 않는 도전정신은 자라온 환경과 거듭된 고비에서 비롯됐다. 극한상황을 헤쳐 나온 투지가 오늘의 물러서지 않는 열정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고향은 그에게 그리움과 한으로 같이 다가온다.
보도자료
[건설경제] 부동산개발사 최초로 신탁회사 인수..2010-04-01
|